2019년 신문지국 1,925개 운영, 지국당 인력은 9.1명, 취급종수 8.5종
평균 수령부수 2,759부, 월 평균 수입 688만 원, 월 평균 지출 542만 원
구독료 수금 방식은 지로(43.7%) > 계좌이체(18.6%) > 자동이체(17.9%)·방문수금(17.9%) 순
신문구독자 감소에 95.3%가 동의, 경영개선을 위한 구독료 인상에는 의견 갈려
신문구독료 소득공제가 구독 활성에 도움 준다는 의견에 69.1%가 동의
지국은 배달 전담하고 신문사에서 배달 수수료 받는 방식에 59.0% 찬성, 반대 41.0%
전남(84.2%), 전북(74.7%) 등 도서지역 많은 지역에서 우송독자 비율 높아
배달 전담 인력 7.5명, 전문배달원 3.7명(49.3%) > 주부 2.9명(39.7%) > 학생 등 기타 0.8명(10.7%) 순
배달 인건비 지급 방식 부수제(68.6%) > 월급제(54.9%) > 구역제(32.4%) 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전국 신문지국 실태조사> 주요결과 발표



 
2019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신문지국은 1,925개로 나타났다. 17개 시도별 지국 분포는 경기 지역이 361개(18.8%)로 가장 많았고, 서울 257개(13.4%), 경북 181개(9.4%), 대구 164개(8.5%), 전남 131개(6.8%) 순이다. 신문지국 종사 인력은 평균 9.1명이고 지국장을 포함해 대부분의 인력이 신문 배달(8.7명)에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만 전담하는 인력은 7.5명으로 이중 절반 정도가 직업배달원(3.7명)이고, 주부 2.9명, 학생을 포함한 기타 인원이 0.8명이다. 이 결과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국내 최초로 신문지국 전수조사를 통해 신문지국의 운영 전반을 다룬 <2019 전국 신문지국 실태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배달인력은 지역별로 인천(16.0명)과 서울(12.7명)이 가장 많았고, 전남(3.1명)과 울산(3.4명) 지역은 배달에 참여하는 지국장을 제외하면 배달인력이 2명 정도에 불과했다. 지국장의 연령은 50대가 50.7%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6.9%, 40대 미만이 16.4%, 70대 이상이 6.0% 순으로 60대 이상이 32.9%로 집계됐다.

  신문지국은 ‘아파트+주택 혼합지역’(18.3%), ‘주택 밀집 지역’(16.7%), ‘주택+상가 혼합지역’(14.4%), ‘상가 밀집지역’(14.2%) 등에 주로 위치에 있다.‘사무실 밀집지역’(4.6%)이나 ‘농어촌 지역’(2.4%)은 드물었다. 부산과 울산은 ‘주택 밀집 지역’, 전남, 세종은 ‘상가 밀집 지역’, 광주, 제주는 ‘아파트+상가 혼합지역’에 주로 위치했다.

  지국이 취급하는 신문 종수는 평균 8.5종이고 지국에서는 하루 평균 2,759부를 수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13.0종), 광주(12.4종), 인천(10.8종)은 10종 이상의 신문을 취급하는데 비해 서울(4.9종)과 울산(3.2종)은 5종 이하에 불과했다. 지국별 수령부수는 세종(5,610부), 제주(5,667부)가 5,000부 이상을 취급했고, 울산(1,112부)과 전남(1,233부)은 1,000부를 약간 넘는 수준이었다.

  지국의 월 평균 수입은 688만원으로 대부분이 신문판매 수입(95.0%)이고 전단지 수입은 2.5%에 불과했다. 지국의 월평균 지출은 542만원인데 절반 이상이 배달원 인건비(55.3%)로 나타났다. 월 평균 수입에서 월 평균 지출을 차감한 순수입은 평균 146만원으로 이는 지국장 자신의 인건비가 포함된 수익원으로 추정된다. 구독료 수금 방식은 ‘지로’(43.7%)가 가장 많았고, 이어 현금 계좌이체(18.6%), 현금 자동이체(17.9%), 방문수금(17.9%) 방식이 비슷한 수준이었고, 신용카드는 0.8%에 불과했다.

  주요 배달처(1순위)는 아파트(37.0%), 주택(22.4%), 상가(20.5%), 관공서(8.9%), 사무실(8.8%) 순으로 나타났다. 광주(56.1%), 대구(50.4%)는 아파트 비율이, 경기(37.4%)는 주택 비율이 각각 높았고, 충북(47.5%)과 인천(46.6%)은 상가 비율이 높았다. 전남(41.2%)은 관공서 비율이, 울산(51.1%)은 사무실 비율이 높았다.

  배달 인건비 지급 방식은 부수제(68.6%)가 가장 많았고, 월급제(54.9%), 구역제(32.4%) 순이었다. 부수제 방식의 경우 배달 인건비는 부수당 4,240원 가량이고, 월급제 배달인건비는 95만 6,000원 정도, 구역제일 경우 배달인건비는 구역 단위로 약 44만 8,800원 정도였다.

  지국 경영 환경 변화와 관련한 질문에서 전체 지국장의 95.3%가 신문 구독자가 감소하고 있다는데 동의했고 92.2%가 배달원 등 인건비 상승에 동의했다. 91.5%가 전단삽지 수입 감소에 동의를 표했다. 신문 구독료 인상에 대해서는 도움이 된다(51.3%)와 도움이 되지 않는다(48.7%)가 팽팽한 시각을 보였다. 신문지대 현실화에 대해서는 73.2%가 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신문구독료 소득공제에 대해서는 전체의 69.1%가 신문구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신문사에서 판촉과 수금 등 독자관리를 담당하고 지국은 배달만 전담하면서 배달 수수료만 받는 새로운 신문배달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59.0%가 찬성했고 41.0%가 반대 입장을 보였다. 이는 지역에 따라 입장 차이가 달랐다. 세종(100.0%), 대전(87.8%), 부산(79.6%), 전북(77.8%), 충남(76.5%)은 찬성 의견이 강한 반면, 제주(84.2%), 울산(54.8%), 경북(55.4%), 강원(52.6%)에서는 반대 의견이 높았다. 배달 전담 운영방식에 찬성한 지국을 대상으로 적정한 배달비 수준에 대해 추가 질문한 결과 5,000원~7,000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았고, 7,000~1만원 미만이 28.0%, 1만원 이상 16.8%, 3,000~5,000원 미만 16.3%, 3,000원 미만 2.5% 순으로 답했다.

  신문배달 방식은 직접 방문 배달이 93.9%이고 우편배달은 5.3%로 나타났다. 전체 지국에서 교통이나 비용 등의 문제로 관할 지역에서 배달 불가 지역이 있다는 응답도 12.0%에 달했다. 제주(40.7%), 경북(28.5%), 전북(26.3%) 지역에서 배달 불가 지역이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전체 지국에서 우송부수가 ‘있다’는 응답은 26.6%였고, 세종(100.0%), 전남(84.2%), 전북(74.7%)에서 우송부수가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우송부수는 평균 195부이고, 서울(772부), 대구(606부), 경북(290부), 충남(219부), 전북(203부)이 200부 이상이었으며, 대전(27.5부), 제주(28.7부)는 30부 이하였다. 우송독자 관리에서 우송료 부담(59.1%)이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응답했고 수금 관리(19.2%), 우편발송작업(17.0%)이 뒤를 이었다. 관할구역에서 우송배달로 전환될 지역이 확대될 가능성에 동의하는 응답이 42.0%로 나타났다.

  이 번 조사에서 전국에 신문을 배달하는 지국이 모두 1,925개로 파악됐고, 이 중에서 일반지국은 1,696개이고 재단이 관리·지원하는 지국(공배센터)은 229개다. 이 조사는 모집단으로 파악된 1,925개 지국에서 실태조사에 응답한 1,056개 지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지국 당 평균 인력은 1~4명 43.8%, 5~9명 23.4%, 10~14명 14.3%, 15명 이상 18.5%이다. 지국을 운영한 시기는 1990년 이전 17.9%, 1990년대 31.3%, 2000년대 29.9%, 2010년대 20.9%로 나타났다. 

  <2019 전국 신문지국 실태조사>는 국내 신문지국 전체를 대상으로 조직 및 인력 등 운영 실태와 경영 현황 전반을 최초로 조사했다. 이 조사는 신문구독률 감소와 신문 유통망이 붕괴되는 시점에서 신문산업의 발전과 신문 유통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 수집을 위한 첫 출발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이 번 조사는 신문사의 자료 협조가 어려운 상황에서 최종 모집단 구축을 위해 인터넷 포털 검색, 카카오 내비게이션 검색과 신문사 홈페이지 검색, 조사 현장에서 지국 추가 등의 과정을 거쳤다. 조사는 최초 모집단 중 전화조사와 실사를 통해 정상 영업이 확인된 지국 1,925개를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신문지국 일반현황 ▲인력과 배달 인력 신문 종수 ▲취급 신문 종수 ▲신문 배달 방식 ▲수입과 지출 현황 ▲구독료 수금 방식 ▲환경 변화 및 경영 개선 인식 ▲수송 및 우송 현황 ▲지국장 일반 현황 등을 광범위하게 파악했다.

  지국 실태조사와 신문유통구조 개선 연구가 포함된 <2019 전국 신문지국 실태조사> 보고서는 2월 말에 발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