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9일 우리 국민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한 가슴 아픈 사건이 벌어졌다핼러윈을 즐기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 모여든 다수의 인파가 뒤엉키면서 300명이 넘는 압사 사상자가 나온 대형 참사가 발생한 것이다.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 우리 국민들에게 이태원 참사라는 아픔이 하나 더 얹어졌다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직도 기억하고 있듯이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우리 언론은 전원 구조라는 대형 오보를 한 적이 있다당시 언론 입장에서 복잡한 현장 상황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겠지만국민적 아픔 속 벌어진 대형 오보와 여러 보도 행태들로 인해 언론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물론, ‘세월호 참사’ 이후 언론은 지적된 문제들에 대한 많은 반성과 함께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그렇기에 또 다른 참사가 발생한 지금 우리 언론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표완수)이 발간한 <미디어 이슈(Media Issue)> 8권 6호에 따르면응답자 1천 명 중 76%가 “‘이태원 참사’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도 부족은 문제라고 지적했다반면응답자 72.8%는 “‘이태원 참사’ 유가족에게 조심스럽게 접근한 보도에 대해 잘했다고 답했다.

 

우리 언론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신속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 81.2%가 그렇다(‘매우 그렇다와 약간 그렇다는 응답 통합)고 답해 가장 높았으며, “심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도 67.5%가 그렇다고 답해 비교적 높았다. “정확하게 보도하고 있다”(57.8%), “믿을 만하게 보도하고 있다”(56.2%)는 내용에도 절반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다반면, “과학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61.7%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해 다른 내용에 비해 우리 국민들이 박한 평가를 내렸다.

 

그동안 언론 보도 및 여러 평가 자료 등을 참고로 이태원 참사’ 보도 과정에서 우리 언론이 이전에 비해 개선된 점들을 제시하고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물은 결과, ‘유가족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이 개선됐다는데 동의한다고 답한 비율이 72.8%로 가장 높았다. ‘희생된 개인에 대한 지나친 사생활 보도 자제도 동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1.4%로 비교적 높았으며, ‘참사 영상 활용 자제’(68.5%), ‘댓글 및 SNS 반응 전달 자제’(65.3%), ‘재난 보도 준칙의 수립과 준수’(65.2%), ‘오보 및 확인 안 된 정보의 전달 감소’(63.3%) 등의 순이었다.

 

이태원 참사’ 보도 과정에서 드러난 우리 언론의 문제점에 대해 물은 결과,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도 부족을 문제라고 동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다또한, ‘사고 초기 관성적인 24시간 특보 체계에 대해서도 73.9%가 문제라고 동의해 비교적 높았다다음으로 너무 많은 뉴스의 양’(67.9%), ‘사고 초기 오보 및 확인 안 된 정보의 전달’(67.4%), ‘사고 초기 무분별한 현장 사진 및 영상 활용’(66.5%), ‘사고 초기 무리한 현장 인터뷰’(59.6%) 순이었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이태원 참사와 같은 국가적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 시 관련 뉴스 및 정보에 달리는 댓글을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찬반을 물은 결과찬성한다(’매우 찬성‘ 18.4%, ’약간 찬성‘ 37.4%)는 의견이 55.8% 과반을 약간 넘어 높았다응답자들에게 이태원 참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각성을 얼마나 인식하는지는 물어본 결과,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내용에 대해 응답자의 82.4%가 그렇다고 답했다. ‘나의 또래 집단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에 대해서는 62.5%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나에게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60.7%였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해 보도한 것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희생자 명단 비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이 원하는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는 진술문에 공감을 표현한 응답자 비율이 48.9%로 가장 높았다. ‘희생자 명단 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에는 33.6%가 공감한다고 밝혀 그 뒤를 이었다다음으로는 국민적 슬픔이 크기 때문에 희생자 명단을 보도하지 말아야 한다’ 10.7%,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유족의 동의가 없더라도 공개해 보도해야 한다’ 6.8%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20대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으며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31% 포인트다자세한 조사결과는 <미디어이슈> 8권 6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재단 홈페이지(kpf.or.kr미디어정보정기간행물미디어이슈)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