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들의 ‘탈(脫)연합뉴스’ 흐름은 올해 초부터 수면 위로 떠올랐다. 중앙일보가 1월1일자로 계약해지를 통보한데 이어 조선일보도 2월1일자로 전재계약을 중단했다. 나머지 신문사들도 전재계약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최근 계약을 연장한 한 종합일간지 관계자는 “언제든 중단할 수 있다는 걸 전제로 연장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지난 2월 △전재료 25% 인하 △포털 송고 기사 수 축소 △홈페이지 노출 기사 축소 등 ‘상생을 위한 제안’을 내놓으며 ‘불끄기’에 나섰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무위로 끝났다. 한국신문협회(협회장 김재호 동아일보 대표이사 사장) 소속 신문사들과 견해차가 워낙 컸기 때문이다.

연합뉴스의 한 관계자는 “신문협회에서는 전재료 50% 등을 요구했고, 우리는 수정안을 냈는데 결국 신문협회에서 (제안을) 거부하겠다고 했다”며 “신문협회를 통한 협상은 끝났다고 보고, (신문사별로) 개별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전재료 30% 인하, 광고 예산 증액, 특별광고 편성 등을 포함한 ‘수정안’을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불거진 표면적인 이유는 전재료이지만, 뿌리는 이보다 훨씬 깊다. 신문사들은 포털사이트에서 뉴스의 대부분이 소비되는 상황에서 연합뉴스가 포털에 기사를 공급해 회원사들과 직접 경쟁을 벌이는 게 적절치 않다고 보고 있다.

연합뉴스의 다른 관계자는 “전재료 부분은 거의 의견이 근접했는데, 포털에서 완전히 빠지라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신문산업이 어려운 걸 알기 때문에 충분히 그런 점을 고려해서 수정안을 냈는데 포털에서 100% 빠지라고 하는 건 맞지 않다”고 말했다.

조·중·동 등은 온라인 콘텐츠 유료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뉴스의 대부분이 포털사이트를 통해 소비되고 있고, 연합뉴스가 각 분야에 걸쳐 방대한 분량의 콘텐츠를 포털을 통해 직접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 콘텐츠 유료화의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게 이들의 판단이다. ‘네이버’와 ‘연합뉴스’가 타깃이 된 것이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서로 보완적으로 발전해가는 관계설정이 바람직하다고 보는데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며 “나름대로 좀 더 장기적인 안목에서 상생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