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기자들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의 언론자유 수준이 지난 이명박 정부 때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자협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창립 49주년 현직기자 대상 여론조사 결과, 새 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의 언론자유 수준이 지난 이명박 정부 때와 비교해 어느정도 수준이냐는 질문에 67.4%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더 나빠졌다”는 응답자는 23.7%(매우 나빠졌다 6.9%, 나빠진 편 16.8%)를 기록했다. “나아졌다는 응답”은 8.7%(매우 나아졌다 0.9%, 나아진 편 7.8%)에 그쳤다.

조사를 담당한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비교의 준거가 된 이명박 정부 당시 언론자유 수준은 양호한 편이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새 정부 들어서도 ‘비슷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은 기자들이 부정적 평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1년 기자협회 창립 47주년 기념 여론조사 당시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81.3%가 부정적으로 응답하기도 했다.


새정부가 주목해야 할 미디어 현안은 “신문·지역언론 등 중소매체 지원”(30.5%) “포털 등 온라인 뉴스 시장 정책”(24.5%)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20.1%) “해직언론인 복직”(9.8%) “지난 정부의 언론사 불법사찰 등 진상규명”(8.3%) “언론인공제회 설립 지원”(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서는 매체별,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 1위를 차지한 “신문·지역언론 등 중소매체 지원”은 지역 기자(51.0%) 사이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특히 지역일간지 기자들은 58.9%가 이 같이 응답했다. 그밖에 지역 기자들이 꼽은 미디어 현안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14.6%) “온라인시장 정책”(12.3%) “언론사 불법사찰 등 진상규명”(8.5%) “해직언론인 복직”(7.0%) 순이었다.

방송사 기자 사이에서는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38.6%)이 가장 높았으며 “온라인시장 정책”(19.3%), “해직언론인 복직”(14.0%) 순으로 나타나 다른 응답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또 종합일간지 기자들은 “온라인시장 정책”(43.3%)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25.4%) “해직언론인 복직”(11.4%)의 순으로 중요 정책을 꼽았다.

이에 대해 홍형식 소장은 “붕괴 위기인 신문·지역언론의 최악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언론자유에 직접 연결된 공영방송이나 해직자 문제 등 대의보다는 생존 여부가 달린 현실 문제가 많은 선택을 받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이명박 정부 때 발생한 해직언론인 문제 해결 방향에 대해 “해직자를 전원 복직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68.5%로 가장 많았다. “진행 중인 소송 등 법적 판단에 따라야 한다”는 응답은 29.0%였다. 복직에 반대하는 의견은 2.2%에 불과했다.
전원을 복직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직급이 높을수록 더 많았다. 국장·부국장급 76.9%, 부장급 73.0%가 이 같이 응답했다.

해직자 문제 해결에 노사자율 원칙을 강조하는 정부 일각의 입장에 대해서는 찬반이 엇비슷했다. 49.4%가 이 같은 입장에 반대해 해직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봤다. 49.3%는 정부 개입을 반대했다.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해직언론인이 많이 나온 방송기자 사이에서 높아 58.1%를 기록했다.

기자협회가 지난 1월 실시한 언론학자 587명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여론조사에서는 67.6%가 해직자 문제 해결에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답한 바 있다.


홍형식 소장은 “해직자 전원복직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정부든 노사든 해결주체들이 해직자 전원을 복직시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신문업계의 하반기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뉴스유료화와 관련해 언론사들이 포털에 뉴스 공급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주장에 69.7%(적극 찬성 29.2%, 찬성하는 편 40.5%)가 찬성했다. 직급별로 부장급(80.3%), 차장급(82.9%)의 찬성이 높아 눈길을 끌었다.


 

현직 기자가 꼽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는 KBS,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는 한겨레였다. MBC는 영향력과 신뢰도에서 모두 0%대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소속사를 제외하고 응답한 영향력 조사에서 KBS는 45.2%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조선일보가 30.6%로 2위를 차지했다. 그밖에 YTN(6.3%), 한겨레(2.8%), SBS(2.5%), 경향신문(1.6%)의 순이었다.


KBS는 2011년 기자협회 창립 47주년 조사에서 31.6%로 영향력 1위에 오른 이래 2회 연속 선두를 차지했다.

신뢰도에서는 한겨레가 21.9%로 1위였다. 2위는 경향신문(14.9%), 3위는 KBS(13.5%)였다. YTN(6.3%), 조선일보(4.8%), SBS(3.8%), 중앙일보(2.1%), 한국일보(1.2%), 동아일보(1.1%)가 뒤를 이었다.
한겨레는 기자협회가 기자 대상 신뢰도 조사를 실시한 2006~2007년, 2009~2011년에도 1위를 차지해 이번까지 6회 조사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KBS와 국내 양대 공영방송인 MBC가 영향력에서 0.7%, 신뢰도에서 0.5%의 저조한 지지율을 보인 점도 주목된다. 특히 방송기자 중 MBC를 가장 신뢰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다.
MBC는 기자협회가 2011년 창립 47주년 때 실시한 조사에서는 영향력 3위(13.8%), 신뢰도 4위(8.3%)를 기록한 바 있다.

홍 소장은 “MBC사태 이후 기자들의 인식이 크게 달라져 MBC가 예전 명성만으로 영항력과 신뢰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혹독한 지적으로 봐야 한다”며 “공영방송 MBC에서 빠져나간 지지층이 민영방송인 SBS보다는 최근 특종을 계속 만들어내고 있는 공영적 보도전문채널인 YTN 쪽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