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한겨레, 상반된 안보 칼럼

K-3 기관총을 광대뼈에 '견착' 하는 대통령이 있다. 731부대를 '항일독립군'으로 착각한 국무총리도 있다.

이런 정부가 국민의 '안보의식'을 탓하고 있다. 29일 아침 '안보의식', '안보관'을 거론한 두 신문의 칼럼이 있다. 동아일보의 <전쟁과 평화>, 한겨레의 <'강안남자의 안보의식'을 원하는가>가 그 것이다. 

두 칼럼 모두 말이야 바른 말이다. 문제는 누가 누구를 나무라느냐, 누구의 탓이 크느냐에 달렸다

 

동아 "10대 수준 안보관" vs 한겨레 "병영캠프나 다녀와"

 

동아일보 권순택 논설위원은 34면 칼럼 <전쟁과 평화>에서 "전쟁을 각오해야 평화를 지킬 수 있다는 건 역사의 진리"라고 결론 내렸다. 맞는 말이다. 결론을 이끌어 낸 논지 전개 과정은 이렇다.

"젊은 세대의 생각은 단순하게 말하면 '전쟁은 싫다'는 것이다. … 10대 청소년들이 골목길에서 불량배에게 얻어맞지 않기 위해 요구하는 돈을 내줄 수는 있다. 경찰에 신고해 일을 복잡하게 만들거나 보복을 당하느니 조직폭력배에게 자릿세를 내고 장사하겠다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들을 비겁하다고 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국민의 생명과 국토를 지키고 국체를 보전해야 할 국가가 책무를 다하자면 전쟁이 두려워 무릎을 꿇을 수는 없지 않은가. … 평화는 스스로를 지키겠다는 의지와 능력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정치인들이 10대 청소년들의 '전쟁 싫어' 수준의 안보관으로 정치를 한다면 심각한 문제다."

 그러나"평화는 스스로를 지키겠다는 의지와 능력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는 권 논설위원의 바른 말과 달리, 현 정부는 국가주권의 핵심인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를 연기하기로 했다.

 

한겨레 김종구 논설위원은 "6·25 이후 60년 동안 휴전상태가 지속되면서 군과 국민의 안보의식이 해이된 점이 있지만 이는 '사회적 환경'이 만든 측면도 크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말을 듣고 "과연 국민들의 안보의식이 얼마나 더 굳건했어야 천안함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안보의식에 투철한 국민으로 인정받으려면 평소 어떤 행동거지를 보여야 하는가"가 궁금했다고 한다. 그의 칼럼의 결론은 이렇다. 

"정부와 보수언론들은 자라나는 청소년들 중 상당수가 6·25 전쟁이 일어난 해를 모른다는 것도 개탄해 마지않는다. 심지어 군은 청소년들의 안보의식 향상을 명목으로 고등학교까지 찾아가 무기·장비 체험학습을 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청소년들에게 6·25 전쟁 발발 연도를 기억하는 일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를 암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천안함 사건의 여파가 왜 애꿎은 청소년들의 역사 성적 문제로까지 번지는지 정말 모를 일이다.

국민의 안보의식 해이를 준엄히 꾸짖는 정부의 높으신 분들이 대부분 병역미필자들인 점도 보기 민망하다. 이것은 희극의 극치다. 그분들은 국민들을 혼 내기 앞서 병영 체험 캠프라도 한번 체면치레용으로 다녀와야 하지 않을까 하는 불경스러운 생각이 든다. … 안보의식 강화는 필요하다. 하지만 그 첫번째 주체는 일반 국민이 아니라 위정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