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2F69556_136536_2718 복사.jpg

2,143명의 언론인들과 시민들이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 42주년 기념식에서 '2016년 자유언론실천 시민선언'을 발표했다. /사진 전국언론노동조합

“‘언론의 민주화 없이 권력의 민주화는 없다’라는 명제는 주권자인 시민들이 뜻있는 언론인들과 함께 논의하고 실천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시대적 사명이다”

2,143인의 언론인들과 시민들은 24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 42주년 기념식에서 ‘2016년 자유언론실천 시민선언’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언론노조와 한국PD연합회 등 현업 언론인단체와 자유언론실천재단,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언론·시민단체들과 함께 선언에 나선 시민들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혁과 해직 언론인 복직을 촉구했다.

이날 언론인들과 시민들이 함께 발표한 ‘자유언론실천 시민선언(이하 시민선언)’은 1974년 박정희 정권의 언론 탄압에 맞서 발표된 ‘자유언론실천선언’의 2016년 판이다.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이하 동아투위) 김종철 위원장은 “1980년 해직 언론인들과 언론계 후배들이 ‘자유언론실천선언’의 이념과 목표를 이어받겠다고 밝힌 일은 있지만, 시민들이 직접 그 선언의 의미를 되살리겠다고 나선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선언의 의미를 짚었다.

언론인들과 시민들은 이날 선언에서 “1974년 <동아일보>와 동아방송, 월간 <신동아>와 <여성동아>가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 조작을 통한 민주화운동 탄압 등 ‘금기’로 되어 있던 사실들을 과감하게 보도하자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동아일보>에 대한 광고를 막고 자유언론실천운동에 나선 기자, PD, 아나운서 등 113명을 거리로 몰아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로부터 41년이 지난 오늘 ‘국정 최고책임자’ 박근혜는 대선 공약에서 ‘공공성을 지닌 미디어나 공영방송의 지배구조에 대한 정치권의 영향력 행사와 독립성‧중립성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배구조를 바꾸겠다’고 했으면서, 임기가 3년 8개월을 지나는 동안 정반대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은) 두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개혁하려면 이사회를 구성할 때 ‘특별다수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노동조합의 요구도 묵살했으며, 공영방송인 KBS와 MBC에 공공연하게 ‘청와대 낙하산 사장’을 보내 인사‧편성‧제작권을 독점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 결과 KBS‧MBC 등 양대 공영방송과 일부 언론은 박근혜 정권의 무능과 독선, 악정과 실정을 비판하기보다는 기득권 체제를 지키고 연장하는 ‘우군’ 구실을 하고 있다”며 “언론은 국가권력이 국민의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안전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감시‧견제해야 하는데 오히려 ‘정권의 나팔수’로 기능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인들과 시민들은 이날 선언에서 △박근혜 정권의 공영방송 지배 청산을 위한 국회의 법적·제도적 해결책 마련 △진실·공정보도 지원 및 불공정·편파·왜곡보도 감시 운동 확산 △현업 언론인들의 단합 및 자유언론·공정방송 실천 과업 매진 등을 촉구하고 다짐했다.

지난 21일 대의원대회에서 ‘2016 자유언론실천 언론노동자 시국선언’을 채택한 언론노조는 이날 청와대의 언론장악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국회 청문회 개최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한 시민들의 명단도 발표했다. 지난 7월 5일부터 10월 22일까지 약 4개월 여간 진행된 서명운동에는 2만 4096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한편 언론노조 대의원들은 앞서 채택한 자유언론실천 언론노동자 시국선언에서 △언론장악 진상규명 국회 청문회 즉각 개최 △청와대 언론장악 방지법 국회통과 △해직언론인 복직 등을 주장하며 “일련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어떠한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