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언련, 13일 지역신문 외부 칼럼진 분야별 분석 결과 내놔

13일 대전충남민언련이 발표한 지역신문 외부필진 분석 모니터 보고서 전문

신문사 구성원이 아닌 외부의 필진에 의해 쓰여지는 칼럼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견해를 밝히는 것으로 정보를 여과시켜주고, 정보의 의미를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신문사의 외부 필진들은 다양한 분야에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다양한 논조를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신문의 사외칼럼은 다양성을 반영하는 공론장의 역할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니터위원회는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대전지역 3개 신문에 게재된 외부칼럼의 필진을 직군별로, 직위별로 분석을 하여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 지역 신문들은 외부 필진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무분별할 정도로 기관․단체장들을 필진으로 선정해 비상식적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필진의 비상식적인 운용은 칼럼의 전문성이나 다양성과는 관계없이 필자에게 지면을 주고 그 반대급부로 필자가 속해 있는 기관이나 단체로부터 다양한 협조를 얻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의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

전국지의 경우 외부 필진은 그 신문의 성향에 맞는 전문가들로 구성하고 그렇게 구성된 필진들은 그 신문의 논조에 동화되거나 더 강성의 논조를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신문사는 외부 필진을 자신들의 논조를 뒷받침하는데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일간지의 경우는 이번 모니터 결과, 논조와는 관계없이 각종 광고 및 협찬, 신문구독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할 정도로 운용되고 있다.

지난 4개월간 3개 신문사에 실린 외부칼럼은 모두 916건으로 대전일보와 중도일보가 각각 327건이었으며 충청투데이가 262건이었다. 충청투데이가 절대적으로 칼럼 숫자가 적은 것은 내부 필진을 많이 활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학계가 쓴 칼럼은 전체의 20.6%인 189건을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공무원이 전체의 16.4%인 150건, 경제계가 전체의 12.0%인 110건, 문화예술계가 전체의 11.2%인 103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그룹인 학계(대학교수 및 각종 학술연구소 연구원)를 제외하면 공무원과 경제계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한 것이 눈에 띤다. 공무원 그룹은 자치단체 소속이 대부분인데, 지방자치단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지역신문의 주 광고주이면서 주 독자층이다. 또한 신문사 주최 각종 행사의 협찬자이면서 후원자이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움 없이 지역사회에서 지역신문이 살아남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런 자치단체 소속의 공무원들이 신문사의 주요한 필진이라는 사실은 여러모로 암시해 주는 바 크다. 마찬가지로 신문사의 주요한 광고주인 지역 경제계 인사들이 대거 외부필진으로 포진해 있는 것도 신문사의 노림수가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면 중 하나이다.

이를 신문사별로 살펴보면 학계를 가장 선호한 신문사는 중도일보로 중도일보 필진의 26.3%인 86명을 차지했다. 대전일보는 자신들 신문사 필진의 17.7%인 58명, 충청투데이는 17.2%인 45명이 학계였다.

반면, 충청투데이는 공무원이 20.2%인 53명, 경제계가 19.5%인 51명으로 세 신문사중 공무원과 경제계를 가장 선호했다. 중도일보는 공무원 57명(17.4%), 경제계 31명(9.5%)였으며 대전일보는 공무원 40명(12.2%), 경제계 28명(8.6%)에 불과했다.

문화예술계의 경우는 대전일보가 61명(18.7%)로 가장 많았고 중도일보 26명(8.0%), 충청투데이 16명(6.1%)였다. 정치계는 충청투데이가 33명(12.6%) 대전일보 26명(8.0%), 중도일보 14명(4.3%)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계는 3사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였고 중도일보는 과학기술계, 시민사회단체를 상대적으로 선호했고 대전일보는 언론계, 시민, 충청투데이는 종교계를 상대적으로 각각 선호했다. 그러나 이 모두 10% 이하의 수치로 표본이 매우 적었으며 특히 다양성을 담보해줄 만한 시민, 시민사회단체에서의 필진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상식적인 필진의 운용은 직위별로 분석해 보면 더욱 뚜렷해진다. 전체 필진 가운데 절반 가까운 43.9%인 402명이 지역의 기관이나 단체의 장(대학총장, 학장, 자치단체장, 기업의 CEO, 공기업 사장, 공공기관의 장, 각종 단체의 장, 전국단위 공공기관의 지역본부장 등)이라는 사실이다. 행정기관의 국장급 이상 되는 고위직(부단체장,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본부장급, 금융기관의 지점장급 이상 등)까지 포함하면 60% 가량이 기관․단체장, 고위직으로 채워진다.

이를 신문별로 보면 충청투데이가 외부칼럼 262건의 절반이 넘는 143건(54.6%)을 기관․단체장의 글로 채웠고 고위직까지 포함하면 7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사의 의도가 어디에 있는지 쉽게 엿볼 수 있었다. 대전일보는 전체의 40.7%인 133건이, 중도일보는 38.5%인 126건이 기관․단체장의 칼럼이었다. 역시 고위직까지 포함하면 모두 50%가 넘는 수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뤄보면 각 분야 전문가들의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견해를 밝힘으로써 정보를 여과시켜주고, 정보의 의미를 제시한다는 외부 칼럼의 역할을 우리 지역신문들은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물론 기관․단체장이라고 해서 전문적인 견해를 밝히지 못한다거나 혹은 전문성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야 말로 그 분야 최고의 전문가일 수도 있고 가장 권위 있는 식견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단체의 장은 전문가로 인식되기 보다는 CEO로서 인식되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그들이 쓰는 칼럼은 전문가의 전문적 견해를 밝히는 글이 아닌 자신이 속한 기관․단체를 홍보하려는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다면, 자신의 사회적 위상 때문에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켜야하는 윤리적 명제에 대한 얘기를 근엄한 말투로 쓰는 경향성을 갖는다.

신문의 외부칼럼은 신문 전체 지면 안에서 사회 공론의 장이 되어야 한다. 지역신문이 독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외부 칼럼을 운용함에 있어 광고나 협찬, 구독 등과 결부시키지 않고 다양한 전문적인 논조와 견해들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지 않으면 안된다. 현재와 같이 전문성, 필력 등을 불문하고 무조건 기관․단체장을 외부 필진으로 구성하는 방식의 개선 없이는 지역신문의 미래도 없다 할 것이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