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재창조 보도, 본질 흐리는 지역 언론"
-민언련 일일 브리핑
 
대전시의 엑스포재창조 사업의 일환인 롯데복합테마파크 사업에 대한 지역언론의 보도 초점이 논란의 본질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대전지역 주요일간지들은 5일 전날 대전 시청에서 열린 ‘복합테마파크 조성 등 대전 엑스포 재창조 관련 전문가 토론회 및 공청회’내용을 주요 소식으로 보도했다. 이날 지역신문들은 롯데복합테마파크 조성 사업의 가장 큰 선결과제로 ‘교통문제’를 꼽았다. 하루 3만 명 정도의 방문을 예상하고 있지만 그를 감당할 만한 교통 운용 수단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금강일보는 <“엑스포 재창조 교통 대책 필수”>(7면)에서 복합테마파크 조성이 대전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교통과 같은 난점은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는 토론자들의 의견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상업시설 등에 따른 지역 자금 역외 유출을 우려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역시 함께 전했다. 민간자본이 섣불리 투입 되지 않는 근래 민자 유치 사업 경향을 지적하는 외부인의 의견도 덧붙였다.

중도일보 역시 <롯데테마파크 최대 문제는 ‘교통’>이라는 표제와 함께 대전시의 복합테마파크 조성 사업의 가장 큰 선결과제로 ‘교통문제’라는 토론자들의 지적을 실었다. 중도일보는 하단에 해외의 엑스포부지 활용사례를 보도 한 <상징성 살리고 ‘부지활용’다양하게>(7면)와 또 다른 쟁점인 롯데복합테마파크 사업 추진으로 인한 대전시의 세수 문제를 짚은 <준공 첫해 200억 세수확보>(7면)) 기사를 실었다. 중도일보는 세수문제와 관련 현재 ‘대전지역의 주요 부지를 대기업에 맡기면서 정작 시차원에서 얻을 수 있는 경제 혜택이 없고 지역 중소상인들에게 피해만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현재까지 롯데 테마파크 입주에 따른 경제효과로 100억 원대의 지료와 일부 세수익만 거론되’는 상황임을 지적했다.

충청투데이는 <“롯데테마파크 교통 혼잡 도로 확장·진입로 중요”>(3면)에서 세수 수입 예상액과 전문가의 의견을 전하면서 교통 문제 해소를 위해 엑스포 공원 주변 차로 추가 설치로 도로 용량을 증대하겠다는 전문가 및 사업 시행 측의 이야기를 전했다.

대전일보는 교통 혼잡 문제만을 주된 화두로 전한 타 언론사와는 달리 지역상권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 또한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롯데복합테마파크 조성 교통지옥․상권붕괴 우려”>(1면)에서는 ‘대전이 대형유통시설이 많다는 점, 롯데의 문화수익 시설의 성격이 모호하다는 점, 영업이익을 최우선하는 대기업의 특성’을 우려하는 전문가들의 의견과 토론회 이후 객석의 ‘복합테마파크 내 문화수익시설로 인한 지역상권의 악영향’에 대한 걱정이 있었음을 전달했다.

대부분의 신문들이 전날 개최된 공청회에서 제기된 문제를 중심으로 롯데복합테마파크 사업의 쟁점으로 교통문제 및 지역상권 위축 등을 꼽았다. 앞서 중도일보가 관련 내용을 전달하면서 해외의 엑스포 사후 활용사례를 추가 보도한 것을 제외하면 전날 공청회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데 그쳤다.

문제는 이 같은 지역신문의 보도는 대전시의 엑스포재창조 사업으로 추진 중인 롯데복합테마파크 사업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일련의 보도 경향이 자칫 롯데복합테마파크 사업 추진을 기정사실화 하면서 이에 따라 파생되는 부수적인 문제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쟁점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전일보의 내부칼럼인 <지역과 기업의 상생>(23면)은 눈여겨 볼만 하다.

대전일보는 그 동안 엑스포재창조사업 논란을 보도하면서 문제의 핵심을 엑스포과학공원의 위상과 공공성에 초점을 맞춰 보도해 왔다. <지역과 기업의 상생>(23면) 칼럼 역시 대전시의 롯데복합테마파크를 통한 엑스포재창조사업의 문제로 ‘과학공원 위상’문제를 거론해 타 신문과의 보도 차별성을 보였다. 칼럼 작성자인 이용 사회부장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LG그룹이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철저하게 사회환원 차원에서 무료 과학교육으로 운영 중인 LG사이언스홀의 사례를 언급하며 대전시가 추진 중인 엑스포재창조사업의 문제를 제기했다. 이 부장은 “대전시가 주도하는 엑스포재창조의 밑그림은 복합테마파크, 당연히 과학공원으로서의 기능은 퇴색하고 위락과 여가, 판매시설로 채워질 전망”이라며 대전시민들은 대전시의 이 같은 추진 계획으로 인해 ‘엑스포과학공원의 본래 기능 약화’와 ‘새로운 경제 효과’사이에서 복잡한 심경에 빠져 있다고 진단했다.

이용 부장은 논란의 핵심은 “순기능과 역기능 중 어느 것이 클 것 인가”라며 “이 시점에서 LG그룹의 순수하고도 열정적인 과학교육의 소신과 철학을 떠올리게 되는 것은 엑스포과학공원이 대전시민과 국민의 자산이라 점”을 강조했다. 이어 “대전시가 단추를 잘 꿰어가고 있는 지, 지역과 기업의 상생이라는 밑그림이 잘 그려지고 있는지 자꾸만 들어다 보게 된다”는 취재 현장에서 느끼는 고충을 전달했다. 논란의 현상만을 전달하려는 보도태도에서 벗어나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현장 기자의 고민이 드러나는 보도였다. 엑스포재창조 사업과 관련 공공성이나 수익성이냐의 중대한 기로에 서 있는 현시점에서 지역언론이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하는 보도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