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170614_172818461.jpg

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은 14일 <다른시각>과의 인터뷰에서 “내부 구성원들이 반발로 촉발됐다는 점에서 이번 대전MBC사태는 의미가 크다”며 “지역 저널리즘이 다시금 회복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전MBC 좌담회 기획이기동 민언련 사무국장

구성원 반발 큰 의미지역 저널리즘 회복해야

지난달 4일, 대전MBC의 구성원들이 이교선·이승섭 기자의 부당징계 철회를 주장하는 피켓을 처음으로 들었다. 이들은 두 기자의 징계를 철회할 것을 촉구하며 출근시간과 점심시간을 이용해 사옥 앞에서 징계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사측이 모르쇠로 일관하자 거리로 범위를 넓혀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이 와중에 보도국장이 회사를 위해 헌신해 온 한 기자에게 인사고과로 불이익을 줬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들은 더욱 분노했고, 대전충남민언련(이하 민언련)을 비롯 88개 지역 시민단체와 연대해 이진숙 사장의 퇴진과 보도국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오는 15일 ‘대전MBC 노조가 회사 밖으로 나온 이유’에 대한 긴급 좌담회를 연다.

좌담회를 하루 앞둔 14일 그동안 기획하고 준비해온 이기동 사무국장을 <다른시각>이 만났다. 이 국장은 “이번 좌담회는 대전MBC의 일련의 사태에 대해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와 함께 촛불 이후 제기됐던 언론적폐청산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왜 이 시점에 언론의 적폐를 청산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고 설명했다.

방송과 언론영향력 커언론적폐청산은 당장 지역의 과제

대부분의 시민들은 ‘언론적폐청산’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중앙언론의 문제로 인식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 국장은 고개를 저으며 “대전에는 특수한 상황이 있다. 지난 4월 언론노조에서 발표한 ‘언론장악 부역자 2차 명단’에 이진숙 대전MBC 사장이 이미 포함됐고, 지역 출신의 방문진 이사와 대전MBC 보직국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3차 명단이 새롭게 발표될 예정”이라며 “이런 상황을 지역에서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또 이 국장은 “방송과 언론은 공공성이란 측면에서 보면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그러나 시청자와 언론사 구성원들이 느끼는 차이는 매우 크다”며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전MBC의 문제를 포함, 언론계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시민들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실질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위해 지역방송이 해야 할 고민을 논의하는 것이 언론적폐청산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내부 구성원의 반발로 촉발된 대전MBC사태의미 커

특히 이 국장은 대전MBC의 일련의 사태와 관련, 내부에서 문제제기가 시작된 것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지역 MBC 가운데 언론적폐와 관련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곳은 대전MBC가 유일”하다며 “대전MBC 노조는 2012년 총파업 이후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구성원들이 다시 의욕을 갖기 시작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유독 지역에 있는 언론사들 가운데 대전의 언론사에서 노사갈등이 심하다. 이런 맥락에서 살펴보면 과거부터 대전 언론의 구성원들이 나름대로 저널리즘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내부에서 있었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와중에 대전MBC 구성원들이 자체적으로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앞으로 지역 언론인들의 의식을 바꿔놓을 계기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원칙과 기준 없는 징계구성원들의 분노 일으켰다

이 국장은 대전MBC 사태의 기폭제가 된 두 기자의 징계와 관련해서는 조심스럽지만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제3자의 입장이라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지만 현재 상황을 종합해 보면 상식적인 부분이나 보편타당성을 갖추지 못한 징계였다”며 “아무리 사측의 고유 권한이라지만 원칙이나 기준이 없는 징계는 구성원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키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보도와 관련된 문제라면 책임자인 보도국장이 책임져야 한다. 그러나 보도를 작성한 기자에게는 중징계를 내리고 책임자인 보도국장은 솜방망이 처벌을 내렸다”라며 “정상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사장을 필두로 한 부역자들이 대전MBC를 좌지우지 하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사장선임구조가 대전MBC의 자율성을 해쳤다

대전MBC노조 조합원들은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낙하산 서울 사장’이라고 강조한다. 이에 동조하고 있는 이 국장은 “대전MBC 스스로 지역방송의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한 시스템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또 언론부역자들이 지역에 낙하산으로 떨어지는 것도 문제”라며 “사장선임구조의 문제로 인해 대전MBC 스스로 자율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인터뷰]“대전MBC, 자사 출신 사장 배출 못해”)

더불어 이 국장은 “목포MBC와 광주MBC에서는 세월호와 관련해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등 지역사 자체의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전MBC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자들의 제작·보도자율성 조차 지켜지지 않고 있으니 근본적인 저널리즘이 훼손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귀족노조양비론적 주장에 불과

대전MBC노조에 대해 일각에서는 ‘귀족노조’라는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이 국장은 “단순히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귀족노조라고 폄훼하는 것은 양비론적인 시각에 불과하다. 부와 명예를 위해서였다면 회사의 하수인이 됐어야 했다”며 “이들은 언론의 공공성과 저널리즘에 대한 고민 때문에 반발하는 것이다. 그런 일방적인 시선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국장은 좌담회 이후에도 대전MBC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좌담회가 끝나더라도 진행하던 1인 시위는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또 기자회견, 토론회, 캠페인 등을 통해 많은 시민들에게 알리고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며 “7월에는 언론적폐청산을 위한 토론회와 방송 3사의 보도를 분석·발표하고 지역 언론의 정상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