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170703_110428864.jpg

충남도청 기자실의 모습.


기자 특권의식” vs “사이비기자와 공존 불가” 찬반 팽팽

도와 출입기자단비회원사학계언론단체 등과 충분한 논의 필요

충남도가 청사 5층에 있던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합쳐 ‘통합브리핑룸’으로 만든다는 방침을 세운 가운데 찬반의견이 팽팽하다. 통합브리핑룸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기존 기자실은 일부 기자들의 특권의식”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하는 측에서는 “검증 안 된 사이비기자와 공존은 불가”하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충남도청 기자실과 브리핑룸은 내포신도시에 소재한 청사 5층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충남도는 5층에 있는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1층으로 재배치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의 계획은 현재 회사별로 이름표를 달고 ‘지정석’으로 운영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중앙지와 지방지, 회원사와 비회원사 등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한 뒤 브리핑룸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평소에는 자유취재석으로 운영하다가 기자회견이 있을 경우에만 브리핑룸으로 변경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이미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가 논의를 통해 사실상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한준섭 공보관이 일부 기자들에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통합브리핑룸으로 변경을 추진 중”이라고 알리면서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충남도에 출입하는 한 기자는 이러한 결정에 의구심을 제기하며 “5층에 있는 브리핑룸에서 도민들이 기자회견을 한 뒤 도지사실로 향하는 것이 불편해 기자실 옮기려 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올 초 청양 강정리 주민들이 기자회견을 마치고 도지사실로 몰려가 점거한 일을 겪었던 충남도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합브리핑룸을 만들어 1층으로 옮기려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하지만 그보다 김영란법 시행 이후 일부 비회원사 기자들이 자리 문제를 두고 공보관실을 계속해서 압박해왔고, 최근에는 한 일간지 출입기자와 홍성지역신문 기자들이 서로 멱살을 잡고 험악한 분위기를 만드는 등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가 직접 나섰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기자들 사이에서 찬반의견이 팽팽하게 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충남도청에 출입하는 한 기자는 “통합브리핑룸 전환에 대해 지금 기자실부스를 차지하고 있는 언론사는 모두 반대할 것이고 그렇지 못한 언론사는 찬성할 것”이라며 “문제는 일부 비주류나 마이너 언론사들의 수준이 형편없을 뿐더러 검증되지도 않은 명함 들이밀며 출입기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이나 대전(또는 충남, 세종)에 본사가 있다거나 기사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는 등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며 “부스만 갖고 문제 삼는 것보다 마구잡이로 출입하는 기자들을 거를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통합브리핑룸으로의 전환을 반대했다.

반면 통합브리핑룸 운영에 찬성하는 한 기자는 “결국 일부 신문, 방송, 통신으로만 구성된 기존 회원사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통합브리핑룸을 반대하는 것 아닌지 의구심이 들뿐”이라며 “이는 결국 기존 회원사들은 수준이 높고, 비회원사는 수준이 낮다고 터부시 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한 달에 몇 번 오지도 않고, 기사도 쓰지 않으면서 부스를 차지하며 중앙지, 지방지로 꼭 구분해서 사용해야만다는 것은 일부 회원사들의 특권의식”이라며 “제일 공평한 건 합리적인 기준을 만들고 이에 따라 부스사용료나 전화요금 등 비용을 지불하면서 통합브리핑룸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기자실 운영주체인 충남도는 모든 기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가 힘들다는 입장이다. 도의 한 관계자는 “여러 기자들의 불만과 입장차이가 다르다는 것도 알고 있지만 모든 기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는 없지 않냐”며 “아직 확실히 결정된 것은 아니다. 더 검토하고 논의해서 합리적인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브리핑룸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기관 중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곳도 있다. 대전정부청사를 출입하고 있는 한 기자는 “대전정부청사의 기자실을 만들 때도 일부 기자들이 중앙기자실과 지방기자실을 분리하자고 주장했었지만 논의를 통해 통합 운영하고 있다”며 “전혀 문제점이 없다고는 볼 수 없지만 서로 교류도 잘되고 사이비기자들의 접근도 차단할 수 있어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또 기존 관공서들이 기자실의 명패를 없애는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대전시청과 대전시교육청은 김영란법 시행 이후 언론사별 지정석을 표시하던 명패를 없앤 뒤 자유취재석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전시의회의 경우에는 김영란법 시행 전부터 자유취재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전충남민언련 이기동 사무국장은 “기자실은 원활한 취재지원을 위해 존재하므로 특정 언론사와 기자들의 전유물이 되어선 안된다”며 “도에서 일방적으로 기자실 운영방안을 결정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보다 기자들 스스로 잘못된 출입처 관행이나 특권의식에서 벗어난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3년도에 충남도청 이전하면서 민언련이 기자실 운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도와 출입기자단, 대전충남세종 기자협회의 중재에 나섰고 토론회를 갖기로 했었지만 기자협회가 일방적으로 불참하며 파기됐다”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운영주체인 도와 출입기자단, 비회원사, 학계, 언론단체 등과 함께 충분한 논의를 통해 합리적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