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10_충남도청%20기자실.jpg

충남도청 기자실


[다른시각의 주장]


충남도가 강력한 의지를 보였던 ‘기자실 개혁’에 시동이 걸렸다.


충남도의회 예결특위는 지난 18일 제1회 ‘충남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하면서 ‘공보관실 이전 및 기자실 공간 재배치’와 관련된 예산 3억2000만원을 통과시켰다. 이 예산은 큰 무리가 없으면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

도 지휘부는 물론 공보관실의 노력과 명분이 의원들의 마음을 돌려세운 게 분명하다. 의회가 힘을 실어주면서 수 십 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던 기자실 개혁이 드디어 첫발을 내디뎠다. 5공화국 시절 틀이 잡혔던 기자실은 사실상 그 시절에 만들어진 언론사들이 지배하는 구조였고, 급변하고 있는 시대에 맞게 변해야 하지만 항상 제자리였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고도 험하다.


이번 예산이 반영되는 과정에서 ‘회원사’ 및 ‘중앙지’ 기자들과 ‘비회원사’ 기자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치열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자신의 ‘밥그릇’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또 이 틈을 비집고 들어가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것을 보면 엄청난 특권을 쟁탈하기 위한 싸움으로 비쳐지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아이들도 제 손에 쥔 과자를 놓고 싶지 않은 만큼 기득권을 가진 기자들이 어떤 꿍꿍이로 다된 밥에 코를 빠트릴지 모를 일이다. 만약 합리적 명분이라고 우기며 반대하려 한다면 꼭 그 명분이 뭔지 떳떳하게 밝히길 바란다. 비겁하게 막후 조종으로 판을 깨트리려 하지 말고 개혁이라는 큰 틀의 범주에서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개진을 선행한다면 비난은 사그러질 것이다.


또한 기득권을 빼앗기 위한 기자들도 무조건적인 찬성과 환영이 아니라 스스로의 자성을 통해 그들의 편견이 ‘기우’에 불과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예산이 반영되자마자 비회원사 기자 가운데 일부가 ‘자신이 나서서 해결됐다’라며 공치사를 하고 있다는 뒷이야기가 들리는 것을 보면 적잖이 우려가 된다. 과도한 자기애가 발현된 것이라고 너그럽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잡음이 하나 둘 모이게 되면 어렵게 시작된 ‘개혁’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어찌됐건 이러한 ‘잡음’을 줄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서로간의 협의와 소통이 필요하다. 집단 이기적인 방식과 어설픈 공치사로 ‘기자’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기 보다는 개혁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충남도도 의회의 동의로 ‘뒷배’가 생겼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기자들과의 소통을 통한 협의 절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지난 18일 예결특위에서 한 의원이 오죽했으면 “충분히 설득할 수 있었던 일을 힘들게 가고 있는 것”이라고 일갈했겠는가.


또 이번 기회에 광고나 대가를 바라고 출입하는 일명 ‘사이비기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기자는 아무나 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되는 직업이다. 끊임없이 학습하는 윤리적인 기자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방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새롭게 운영될 ‘통합브리핑룸’은 5층에서 1층으로 옮겨가는 외형적·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운영방식이 바뀌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단지 기자들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궁극적으로 도민을 위한 ‘통합브리핑룸’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