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나는 지역본부 가로챈다" 논란… 독립채산제 지역본부에 전재료 환급 거부, "파행 바로잡는 중"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한 후 지역 본부와의 갈등이 불거지면서, 본사가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지역 본부를 정리하고 본사로 흡수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뉴시스는 2002년 창간 때부터 지역본부를 독립채산제로 운영해 왔다.


지역 본부 측은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한 후 수익이 안정적인 이른바 ‘노른자’ 지역 본부를 '접수'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는데 뉴시스 본사는 그동안 파행 운영된 지역본부를 바로 잡는 과정에서 제기된 억측이라는 입장이다. 


13일 뉴시스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전아무개 전 대전충남본부장은 지난 4월 6일 대전충남본부에 있던 기자 20여명을 해고하고 자신도 퇴사 처리했다. 13일 현재 대전충남본부는 법인격만 살아있는 유령 본부다. 


전 전 대전충남본부장은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대전충남본부는 2009년 베스트 3위 안에 들었던 우수 본부였는데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한 후 전재계약료를 지역본부에 돌려주지 않고 자체 영업에 의한 수익의 3년치를 소급해 본사에 지급하라는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 전 대전충남본부장은 이어 “전 경영진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재계약료를 지역본부에 전액 환급해 왔는데 현 경영진은 수개월째 내려 보내지 않아 수개월째 기자들 월급을 못 줬다”며 “감사 중이라고 이유를 대면서 영업을 못하게 하는데 이건 지역 본부를 가로채기 위한 작전”이라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 뉴시스 홈페이지.



전 전 대전충남본부장은 “또 머투가 들어온 이후 삼성·현대 등 대기업 비판 기사는 등록해도 승인하지 않았다”며 “독립채산제에서 우리가 등록하는 기사를 본사가 모두 승인해야하는데도 기사가 노출되지 않는 일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본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뉴시스 지역본부가 불법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불법이라는 부분도 알게 된 데다 이렇게 아웃 당하느니 그만 두는 게 낫겠다 싶어서 본부장직에서 사퇴한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통신진흥에관한법률은 외국 뉴스통신사와 계약을 체결한 곳을 뉴스통신사업자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민영통신사의 경우 본사만 외국 뉴스통신사와 뉴스통신 계약을 체결하고 있을 뿐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지역 본부는 사실상 외국 뉴스통신사와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채 통신사 지위를 행사하는 상황이다.


4월 본부장 등 기자들과 함께 퇴사한 A기자는 “본사 횡포를 못 견딘 본부장이 기자들을 퇴사시키고 자신도 사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A기자는 “우리는 독립채산제라 인사와 경영을 모두 본부장이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데 인사에 대해서도 본사가 치고 나가니 본부장이 견뎌낼 택이 있겠나. 이 모두는 전 사장 때는 없었는데 이번 사장이 바뀌면서 본사 분위기가 변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대전충남본부 노조 쪽 이야기는 다르다. 노조에 속한 B기자는 “월급 연체 지급이 계속되면서 기자들 불만이 누적돼 결국 지난해 7월 정상화를 촉구하게 된 것”이라며 머니투데이의 지역 본부 접수와는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B기자는 “본사에서 압박을 한 게 아니라 본부장이 운영을 못했기 때문에 이 사달이 난 것”이라며 “본부장이 얼마나 역할을 안했으면 우리가 노조를 만들었겠느냐”고 지적했다. 


대전충남본부는 현재 노조에 소속된 기자들이 취재를 이어가고 있다. 노조는 “본사의 지역본부 정상화 의지와 고용승계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취재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들은 퇴사된 지난 4월 이후 현재까지 임금을 받지 않고 있으며 정상화 전까지 임금 채권을 요구할 곳도 없는 상황이다. 이들은 지역본부를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로 무급노동 중이다. 


앞서 올해 4월 대구경북본부도 본사와 마찰을 빚었다. 뉴시스 본사는 대구경북 본부 파행을 이유로 본사 기자 5명을 파견 보냈으며 기존 대구경북 본부 기자들의 CMS 접속을 차단했다. 이에 항의하며 대구경북 본부 기자들은 별도의 홈페이지를 개설해 뉴시스 대구경북 기사를 올리는 등 대응해왔다. 


대구경북본부는 본사의 대구경북본부 홈페이지 접근 금지 철회 가처분신청에서 승소했다. 법원은 최근 본사의 가처분 이의 신청을 기각해 대구경북본부는 본사 CMS를 통해 기사를 올리는 중이다.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13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기존 대구경북본부 기자들의 CMS 접근은 가능해졌지만 본사에서 내려온 기자들 역시 상주하는 상황”이라며 “본안 소송까지는 적어도 2~3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이 같은 두 집 살림이 계속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지난 4월 대구경북본부 한 관계자는 “본사에서 보내달라는 매출 현황 자료도 다 올려줬고 의도적인 매출 누락이 없는 데도 인사 등 독립채산제 본부의 경영에 간섭하고 있다”며 “전 경영진은 이런 적이 없었는데 새 경영진이 오면서 뉴시스 지역 본부를 정리하려고 한다는 느낌이 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본사 관계자는 “대전충남본부의 경우 임금체불이 있다는 제보가 들어와 본부 쪽에 임금 체불과 매출 내역 등 자료를 요청한 것”이라며 “해당 본부는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일방적으로 계약해지를 하고 나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머니투데이의 뉴시스 지역본부 접수 의혹에 대해서는 “본사 사장 교체 후 기대감이 커지면서 지역 본부장에 대한 비리 제보가 늘었다”며 “뉴시스의 경우 지역 본부에 대한 기대는 매출보다 뉴스 콘텐츠의 전국 공급 목적이 더 크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