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중도일보 사과문에 대한 대전지역시민단체 공동 논평



중도일보가 2021년 12월 9일, 2면 사고를 통해 최근 불거진 사유화 및 편집권 침해 논란에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다. 


중도일보는 사유화의 단초를 제공했던 부원건설의 대전광역시의회 정기현 의원과 전교조대전지부 해명 자리에 동행한 것이 부적절했음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그러면서 중도일보는 언론으로서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1. 공정한 지면 구성 2. 기사의 사장(死藏) 및 과장보도 지양 3. 부당한 청탁 금지 4. 윤리강령 위반 시 징계 5. 윤리위원회 운영을 골자로 하는 5대 사항을 준수하고 기사 검증 시스템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또한 공정보도위원회 신설과 편집권 독립을 상시 감독할 수 있는 구조적 시스템을 만들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동안 언론계는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데 인색하기만 했다. 잘못을 인정하고 공개적으로 이를 밝힌 중도일보의 용기 있는 결정에 존중을 표한다. 그리고 중도일보의 이번 결정이 지역 언론계의 오랜 관행을 깨는 좋은 선례로 남길 바란다. 독자는 잘못을 진솔하게 인정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신뢰와 지지를 보낼 것이다. 이번 결정이 독자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원들과의 약속이라는 점을 잊지 않길 바란다. 위기가 아닌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라. 


하지만 약속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이 구체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더 큰 저항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을 중도일보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 구성원들 역시 한국기자협회 중도일보 지회 입장문을 통해 스스로 밝힌 독자들과의 약속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구성원들에게도 다시는 변명의 기회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 언론자유와 편집권 독립을 지키기 위해 중도일보 구성원들이 행동한다면 지역사회는 기쁜 마음으로 함께 연대할 것이다.


중도일보의 이번 결정이 지역 언론계에 작지만 큰 울림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지난 한 달여 기간 동안 중도일보 사유화 논란이 촉발됐지만, 대다수 지역 언론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언론의 생명과도 같은 편집권이 침해당했고, 사주에 의해 언론사가 휘둘리는 과정에서도 이를 문제 삼은 언론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언론 사주의 문제를 말고도 지역 개발사업 과정에서 불거진 학교용지 확보를 둘러싼 논란 역시 제대로 다루는 언론이 드물었다. 같은 언론이라는 이유로 지역 언론 문제에 철저하게 침묵했다. 


이번 중도일보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지역 언론 모두가 자성하길 바란다. 이는 비단 중도일보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역 언론 사주와 경영진뿐 아니라 기자를 포함한 지역 언론 종사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 그동안 수없이 침해당했던 언론자유와 편집권 독립을 지키기 위해 누구 하나 제대로 나서지 않았다. 되돌아보자. 중도일보가 직면해 있던 작금의 문제가 중도일보만의 문제였는지. 이제 지역 언론 모두가 그 비판에 답을 할 차례다. 잘못된 지역 언론의 관행을 깨고, 시민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공동의 노력에 나서길 촉구한다. 단 한 번만이라도 지금 지역 언론이 직면하고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을 절박하게 바라보길 바란다. 시한부 선고받은 지역 언론에게 이제 남아있는 시간이 별로 없음을 인식하기 바란다. 



2021년 12월 10일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대전YMCA/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전문화연대/대전여성단체연합/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대전환경운동연합/대전충남녹색연합/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대전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대전충남생명의숲/대전흥사단/대전참교육학부모회/참관단체:안편택/공공/시민참여연구센터)

전국교직원노동조합대전지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대전충청지부